본문 바로가기

Algorithm/기타6

배열과 리스트 1. 배열 - 배열은 메모리의 연속 공간에 값이 채워져 있는 형태의 자료구조 - 인덱스를 사용하여 값에 바로 접근 가능(빠르다) - 값을 삽입하거나 삭제하려면 해당 인덱스 주변에 있는 값을 이동시킨다(느리다) - 배열의 크기는 선언할 때 지정할 수 있으며, 한 번 선언하면 크기를 늘리거나 줄일 수 없다. - 구조가 간단하므로 코딩테스트에 자주 사용 2. 리스트 - 리스트는 값과 포인터를 묶은 노드라는 것을 포인터로 연결한 자료구조이다. - 인덱스가 없으므로 값에 접근하려면 Head 포인터부터 순서대로 접근한다.(느리다) - 포인터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데이터 삽입이나 삭제가 빠르다. - 선언 시 크기를 따로 지정하지 않아도 된다. (크기 변경 가능) - 구조가 복잡하다. 2024. 1. 15.
코딩테스트 준비하기 ✏️ 시간복잡도 - 수행시간은 1초에 1억번씩 연산 - 빅-오 표기법 : 최악의 경우의 연산 횟수를 나타낸 표기법 - 상수는 시간 복잡도 계산에서 제외한다. - 가장 많이 중첩된 반복문의 수행 횟수가 시간 복잡도의 기준이 된다. 🖥️ 디버깅 - 문법 오류나 논리 오류를 찾아 바로잡는 과정을 디버깅이라 한다. - resume : 다음 break point로 이동 - step over : 다음 줄 이동 - step into : 내부로 이동 - step out : 뒤로가기 - evaluate : 해당 위치에서 원하는 메서드 사용 2024. 1. 8.